> 역사 > 조선 > 조선시대 관직과 품계 > 내명부와 외명부

내명부와 외명부

내명부

내명부(內命婦)란 조선시대 궁중에 있는 왕비와 후궁, 그리고 이들을 모시는 여자 관리(궁녀)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내명부'는 조선 시대에, 궁중에서 품계를 받은 여인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서, 빈(嬪), 귀인(貴人), 소의(昭儀), 숙의(淑儀), 소용(昭容), 숙용(淑容), 소원(昭媛), 숙원(淑媛), 상궁(정5품), 나인 따위를 말한다. 세자빈과 세자의 후궁도 포함한다.내명부의 상대 개념으로 왕족과 관리의 아내를 일컫는 외명부(外命婦)가 있다. 내·외명부의 최고 권한은 원래는 중전(中殿) 즉, 왕비에게 있기 때문에 국왕도 내명부 일에는 간섭하지 않는 것이 관례였다. 내관은 왕을 직접 모시는 이들로 흔히 후궁으로 불린다. 내관의 출신은 다양하여 간택을 통해 입궁한 양반가 출신이 있는 반면, 왕의 승은을 입은 궁녀 출신도 많았으며, 심지어 궁의 잡일을 하던 무수리였다가 빈의 자리까지 오른 숙빈 최씨(영조의 생모)의 예도 있었다.

조선시대 왕의 후궁인 빈(嬪)의 품계는 '정1품'이다. 희빈, 숙빈, 공빈, 영빈, 혜빈, 경빈... 이처럼 빈 앞에 희, 숙, 공, 영, 혜, 경..은 빈들을 구분하기 위한 이름이다. 따라서 희빈, 숙빈, 공빈, 영빈, 혜빈, 경빈 등은 모두 같이 '정1품'이다. 품계에 있어서 차이가 없다. 즉 높고 낮음이 없다.

후궁들에게는 내명부의 벼슬을 주어, 숙원(淑媛:종4품), 소원(昭媛:정4품), 숙용(淑容:종3품), 소용(昭容:정3품), 숙의(淑儀:종2품), 소의(昭儀:정2품), 귀인(貴人:종1품)의 순으로 올리고, 후궁의 으뜸은 빈(嬪:정1품)이라 하였다. 그리고 조선 시대에 왕비는 왕의 비(妃)로서 품계는 왕과 같은 무계(無階)였고, 내명부와 외명부의 수장이다.

외명부(外命婦)

외명부(外命婦)란 황실 및 왕실의 여성이나 공신의 어머니 또는 처, 또는 문무대신의 어머니 또는 처로서 봉호(封號)된 여성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외명부'는 조선 시대에, 왕족, 종친의 딸과 아내 및 문무관의 아내로서 남편의 직품(職品)에 따라 봉작(封爵)을 받은 부인을 통틀어 이르던 말이다.중국의 당(唐)·송(宋) 시대에 제도화되었으며, 한반도에선 고려시대부터 체계적으로 운용되었다. 임금의 딸인 공주와 옹주, 세자의 딸인 군주, 현주 등은 외명부에 속한다.

내관(후궁)과 궁관(궁녀)

내명부의 기능은 내관(內官)과 궁관(宮官) 으로 크게 나누어지고, 품계에 따라 각기 고유한 직무가 부여됐다.

내관(內官)은 빈(嬪:정1품)·귀인(貴人:종1품)·소의(昭儀:정2품)·숙의(淑儀:종2품)·소용(昭容:정3품)·숙용(淑容:종3품)·소원(昭媛:정4품)·숙원(淑媛:종4품) 등의 정1품에서 종4품까지의 왕의 후궁(後宮)이며 대한제국시대에 빈(嬪:정1품)이 귀비(貴妃)가 되었다. 후궁(後宮)은 왕의 후사(後嗣)를 위하여 금혼령(禁婚令)을 내리고 신분이 좋은 가문에서 간택하여 정식으로 맞아들인 경우와 궁녀가 왕의 승은(承恩)을 입어 되는 경우가 있었으며 왕의 총애(寵愛)를 받아 왕자를 낳은 후궁(後宮)은 왕비가 낳은 적통 대군과 왕위계승을 둘러싸고 치열한 권력 다툼을 했다.

궁관(宮官)은 정5품의 상궁(尙宮)에서 종9품인 주변궁(奏變宮)에 이르는 궁녀로서 일정한 직임·품계를 가지고 국가로부터 녹을 받고 궁중의 살림살이를 도맡아 하고 위로는 왕비와 후궁을 받들고 아래로는 궁중의 잡역에 종사하는 하층 궁녀를 지배했다. 하층 궁녀는 상궁 아래에 나인이 있었으며 상궁의 보조역할을 하였고 나인 아래에는 아기나인이 있었는데 생각시라고도 하였으며 각 처소에서 막일을 담당하는 무수리,궁중의 내의원에 소속되어 있는 의녀(醫女)가 있다.궁녀의 입궁 연령은 지밀(至蜜)이 가장 어린 4∼8세, 침방(針房)·수방(繡房)은 6∼13세, 그 외에는 12∼13세가 일반적이었다. 궁녀는 20세 전후에 계례를 치르고 정식 나인이 되었고 나인이 된 후에는 15년이 경과되어야 상궁의 자리에 오를 수 있었으며 모든 궁녀들은 입궁에서 출궁까지 원칙적으로 종신제였다. 왕의 승은(承恩)을 입게 되면 궁녀의 기본적 임무는 주어지지 않고 왕의 시중만 전담하게 되었다. 이 승은상궁(承恩尙宮)이 왕의 자녀를 낳게 되면 내관인 종4품 숙원(淑媛) 이상으로 봉해졌다.

궁녀의 품계

궁녀의 품계도 무척이나 다양하다. 보통 우리가 사극에서 보는 궁녀들은 정 7품 이하의 궁녀들이며, 똑같은 품계의 궁녀라도 수라간, 대전, 중궁전 소속인지에 따라 약간의 지위 차이가 있었다고 한다.

궁녀와 무수리의 차이는? 궁녀는 품계가 있다. 중궁전에서 관할하는 내명부의 일원이었으며 품계가 있다는 것은 곧 승진도 가능했다는 이야기다. 물론 녹봉도 받았다. 그에 반해 무수리는 품계가 없다. 이들은 궁에서 일하는 여자들이 아닌, 궁에서 일하는 여자들을 위해 일하는 일종의 계집종 신분이었기 때문이다. 드라마 [왕의 여자]에서의 무수리 시절 김개시의 모습이 나오는데, 선조의 승은을 받고 특별 상궁의 자리까지 오른다. 본명은 김개똥이었는데, 임금의 승은을 받은 여인의 이름이 너무 품위없다 하여 역사서에는 개똥이 대신 개시로 표현하고 있다. 개시의 '시'가 '똥 시'라고 한다.

궁녀의 최고지위인 상궁

상궁(尙宮)은 정5품의 직책을 말하며 승은을 받지 못한 궁녀들이 오를 수 있는 최고의 위치였다(특별 상궁은 제외) . 최근 드라마에서는 정 5품부터 종 6 품까지의 품계를 모두 뭉뚱그려 상궁이라고 표현하는 듯 한데, 대장금에서 갈등의 원인이었던 수라간 최고 상궁 자리를 놓고 한상궁과 최상궁이 대립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드라마상에서 한상궁과 최상궁이 하는 일을 놓고 본다면 그녀들은 상궁(尙宮)이 아니라 종5품의 상식(尙食)의 지위로 보인다. 그리고 수라간 최고 상궁이 바로 정5품인 상궁인것이다. 그런데 드라마에서는 최상식, 한상식이 아닌 최상궁 한상궁으로 나왔다.

똑같은 정5품의 상궁이지만 상궁중에서도 제일 높은 상궁은 따로 있었다. 제조상궁의 경우 모든 상궁 중 가장 지위가 높은 어른 상궁을 뜻했다. 상궁계의 1인자가 제조상궁이라면 2인자는 부제조상궁이었다. 최고상궁 (=수라간 최고 상궁) 역시 높은 위치의 상궁이었다. 그리고 특별상궁이 있었는데 임금의 승은을 입어 상궁이된 특별상궁(=승은 상궁)이 그것이다. 특별상궁은 왕의 승은을 입었으나 상궁보다 높은 품계를 받지 못한 궁녀들을 뜻한다. 보통 일반 궁녀들이 입궁하여 정5품의 상궁의 자리에 오르기까지 30~40년 정도가 걸렸다고 하는데, 승은을 받으면 입궁 1년차라도 단번에 특별상궁에 올랐으니 초고속 승진인것이다.

특별상궁은 다른 상궁들과 달리 궁궐의 일을 하지 않았다. 실제적 지위는 특별 상궁보다 제조상궁(提調尙宮), 최고상궁이 높았지만 제조상궁이나 최고상궁이 특별상궁을 부려먹을 수는 없었다. 오히려 특별상궁이 다른 상궁들이나 나인을 부릴수 있었다고 한다. 왜냐하면 왕의 여인이었기 때문이다. 드라마 대장금에서 특별상궁 시절의 연생이가 나오는데, 연생이가 중종의 승은을 입고 특별상궁이 되고, 후에 회임을 하여 숙원(淑媛:종4품)의 첩지를 받게 되었다. 왕의 여자에서 김개시 역시 승은을 입고 특별상궁의 자리까지 올라간다.

후궁의 막내 숙원

왕의 후궁중에서 품계가 가장 낮은 숙원은 왕의 총애를 받고 후궁이 된 여인들이 가장 먼저 받는 첩지였다. 왕의 총애나 회임, 옹주나 군의 출산에 따라 점차 품계가 올라갔으며 그 유명한 희빈 장씨나 숙빈 최씨, 고종의 후궁 영보당 이씨 등등 수많은 왕의 총애를 받은 후궁들이 숙원의 자리를 거쳐서 더 위 품계로 올라갔다. 이와 반대로 왕의 총애가 아닌 간택으로 들어온 후궁이나 혹은 정치적 이유로 입궁한 후궁은 대부분 반가의 규수들이었기 때문에 말단 품계를 거쳐서 올라가는 것이 아닌 입궁과 동시에 빈이나 귀인의 첩지를 받았다. 숙종의 후궁인 귀인 김씨나 정조의 후궁인 수빈 박씨가 이러한 간택 후궁의 대표적 인물들이다.

종1품 귀인

대체적으로 종1품의 귀인(貴人)부터 떨잠을 장식하거나 가채를 착용하는 등 의복과 장식이 화려해 지는 듯하다. 드라마를 볼 때 후궁의 의복의 화려함을 보고 품계의 높고 낮음을 예측할 수 있으며, 품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화려한 장식과 의복을 했다면 그만큼 왕의 총애를 받고 있음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왕의 딸(공주,옹주) 왕세자의 딸(군주,현주)

적자(嫡子) 는 어머니가 본처일 경우이며 서자(庶子)는 어머니가 양인 출신의 첩일 경우를 말하고 얼자(孼子) 는 어머니가 천인 출신의 첩일 경우를 말한다. 그래서 왕의 딸도 적서를 구분하였는데, 공주(公主)는 왕의 적녀(嫡女), 옹주(翁主)는 왕의 서녀(庶女), 군주(郡主)는 왕세자의 적녀, 현주(縣主)는 왕세자의 서녀를 말한다.

왕의 사위 부마(駙馬)

부마(駙馬)는 부마도위(駙馬都尉)라는 직책에서 유래한다. 부마도위는 왕의 예비용 마차인 '부거(副車)'를 끄는 말인 '부마(駙馬)'를 관리하는 직책이다. 왕의 물건을 관리하는 일이니 만큼 대우가 좋고 봉급이 쎄지만, 예비용 물건이다보니 할 일이 없는 완전 알짜배기 직책이라, 주로 왕의 사위에게 임명하게 되었고, 일부 국가의 경우에는 왕의 사위에게만 부마도위 직책을 줄 수 있게 법으로 정해놓기도 했다.